SQL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직접적인 이유는 (대부분) 그 SQL문이 데이터 블록을 많이 액세스하기 때문이고 , SQL 튜닝 방안 대부분은 데이터 블록 액세스 최소화 노력이다. SQL 튜닝 경험이 풍부하면, SQL 트레이스 리포트만 있어도 데이터 블록 액세스 상황이 어떠한지? 어느 단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는지? 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, 이후 구체적인 문제 원인을 분석하고, 개선 방안을 찾는 것을 일사천리로 진행할 수 있다. 다음은 비교적 SQL 튜닝 경험이 많지 않은 초심자도 SQL 튜닝 실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SQL 트레이스 분석, 문제 원인 분석, 개선 방안 수립 과정 전체 과정을 마인드 맵 형태로 도식하였고, 도식 내용에 대한 설명도 첨언하였다. (문제 상황) SQL 트레이스 결과 만으로 쉽게 구분 가능하도록 3가지 유형만 정의하였는데, 먼저 넓은 범위 액세스 여부를 판별하고, 그 다음 조인 순서 부적합 여부를 판별하고, 그외의 경우인 경우 마지막 테이블/인덱스 과다 액세스로 구분한다. (문제 원인) SQL 트레이스 결과, SQL문 인덱스 정보, 데이터 구조와 값 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으로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문제 원인을 1개 이상 열거한다. (개선 방안) 문제 원인을 개선할 수 있고, 개선 효과도 충분히 큰 것을 우선 고려하고, 적용 가능 여부도 함께 고려하여 1개 이상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. 사실, SQL 트레이스 결과(또는 이에 버금가는 정보)를 보지 않고, (여기서 정의된) 데이터 액세스 이슈인지, 아니면 다른 이슈 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. 예를 들어, 락 경합, 버퍼 경합과 같은 이슈는 데이터 액세스 이슈와는 그 성격이 다른 것이고, 그런 이슈는 대기 이벤트 정보가 있어야 문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. 이렇듯 위 도식에 모든 SQL 성능 이슈, 모든 데이터 이슈 관련한 문제 상황, 문제 원인,...
댓글
댓글 쓰기